메모장 입니다2
무선랜해킹] 인프라/클라이언트 공격 본문
1.로그
엑세스 포인트
•대상
AP와의 브릿지 역할을 수행하는 AP를 생성하여,
이를 경유해 대상 네트워크에 우회 접속하는 기법.
•생성된
후에는,
로그 AP를 이용한 공격자의 우회접속을
차단하기가 어려움.
2.서비스
거부 공격(DoS)
•인증/결합 해제,
CTS-RTS Flooding
3.중간자
공격 & 세션
하이재킹
•서비스
되는 AP와 대상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세션을 가로채어
오가는 데이터 스니핑 및 조작.
4.이블트윈
•정상적인
AP로 위장하여, 대상 호스트의 접속을 유도.
•접속된
사용자들의 정보를 스니핑하거나 조작 가능.
§이블
트윈 실습
1)대상 AP(C4:9A:02:43:B2:20)의 서비스 상태 확인.
->B8:5A:73:13:B0:ED의 단말기가 연결중인 상태.
2)동일한 SSID(“KIN”)를 가진, 가상 AP 생성
*)생성된 가상 AP가 캡쳐된 모습
3)DoS 공격을 통한, 클라이언트(단말기)의 재연결 유도.
*)재연결시, 클라이언트는 신호가 강한 AP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4)접속 확인.
-가상 AP 로그-
-단말기-
'Study > 무선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랜해킹] Hidden ssid, 맥 필터링 (0) | 2017.08.08 |
---|---|
무선랜해킹] 802.11, 명령어 (0) | 2017.08.08 |
무선랜해킹] WPA/WPA2 크랙 (0) | 2017.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