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tudy/정보보안산업기사 (30)
메모장 입니다2
1. 라우팅 -정적 라우팅>디폴트 라우팅->모르는 주소의 패킷을 보낼 경로.->router#ip route 0.0.0.0 0.0.0.0 [next ip/port] -동적 라우팅>우선순위-> `Connected > ICMP redirect > Static > OSPF > RIP` 2.네트워크 장비 -랜카드>전송 방식1)반이중(Half-Duplex)->양방향->한 번에 송, 수신 중 하나만 할 수 있다. 2)전이중(Full-Duplex)->양방향->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림 -허브>종류1)더미 허브: 단순한 허브. 2)인텔리전트 허브(Inteligent Hub):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을 내장하여 개인 포트를 제어할 수 있다. 3)스위칭 허브: 스위치 기능을 하는 허브(2계층에서 동작..
1.DNS(Domain Name Service) -DNS 서버 유형1)마스터 네임 서버(Primary Name Server)->로컬 파일에 저장된 DNS 정보를 제공. 2)슬래이브 네임서버(Secoundary Name Server)->다른 서버로부터 받아와(zone transfer) DNS 정보를 제공. 3)캐시 서버: DNS 서비스 결과를 자신의 캐쉬에 저장하고, 저장된 DNS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제공. -리눅스 DNS>DNS 구조1)Client] /etc/hosts 확인. /// `/etc/hosts`에는 자신의 주소와, 자주 사용하는 시스템 주소가 등록된다.2)Client] /etc/resolv.conf에 등록된 DNS서버에게 DNS 요청.3)Server] 해당 DNS가 자신의 권한에 속한지 확..
/* 문제 풀다가 중요해 보이는 키워드들만 정리 */ -윈도우 서버 터미널 포트(원격 데스크톱 포트)->3389 -메모리와 주변장치간에 CPU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DMA(Direct Memory Access) -선점형>RR(Round Robin) //시분할>SRT(Shortest Remaining Time) //남은 작업시간>다단계 큐 비선점형>FCFS(=FIFO)>SJF(Shortest Job First) //총 작업시간>HRN>기한부 -HRN(Hightest Response-ratio Next)>비선점>SJF 단점 보완>우선순위 계산식을 이용해 자원 할당.>우선순위 값이 높은 순으로 CPU를 할당해줌. -PCB에 포함된 정보>프로세스 식별자>프로세스 우선순위>프로그램 카운터..
1.IP 헤더 -구조*VERS: IPv4 *HLEN: 헤더 길이 /* 추후 문제에 나오면 중요부분 적는걸로 */ 2.ARP -패킷 구조.*HW Type: 물리적인 망의 종류(Ethernet = 1) *Protocol Type: (IP = 0x0800)*Opcode: 패킷 타입(ARP Request = 1 Reply = 2RARP Request = 3RARP Reply = 4) -ARP Cache->ARP 테이블.->관리 명령어(cmd)`arp -a`->출력. `arp -s`->직접 추가. `arp -d`->삭제. -RARP(Reverse ARP): MAC 주소로 IP 주소를 얻어오는 프로토콜. 3.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에서의 에러 사항이나 통신 제..
1. OSI 7 -7계층1)물리 계층(Physical Layer)->단위: 비트->장비: 리피터, 허브.->>전기신호를 증폭시킨다. 2)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단위: 프레임->MAC 주소.->데이터 + 헤더 + 트레일러->장비: 브릿지(Bridge), 스위치->>MAC 주소를 보고 전송포트 결정. ->>스위치는 각각의 포트가 Collision Domain. 3)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데이터 경로 선택 및 전송.->IP주소.->단위: 패킷 4)전송 계층(Transport Layer)->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나눔.->단위: 세그먼트.->TCP, UDP, SPX.->오류복구, 흐름제어.->포트, 소켓.->장비: L4 스위치->>부하분산 기능: 과도한 트래픽 발생..
1.점검 -상태 확인 명령어>CPU1)top->CPU, 메모리, swap에 대한 모니터링. >MEMORY1)free->간단한 메모리 정보. (전체/사용중/남은) 2)vmstat->swap-out 같은 상태도 확인 가능. >DISK1)df->디스크 용량 체크->`-h`: 보기 좋게 단위 붙여서 출력. 2)iostat->디스크에 I/O가 얼마나 일어나고 있는가? -로그>messages->/var/log->디바이스, 네트워크, 부팅 정보 등 가장 많은 내용을 가짐. >lastlog->명령어로도 확인 가능.->최근 로그인 정보(이름, ip, 시간) >last->lastlog내용 외 세션 지속시간 등 많은 내용이 담겨있어 분석시 참고해야할 중요한 파일. >wtmp->로그인, 로그아웃 정보 >btmp->로그인 실패..
1.마운트 -mount 명령어`mount /dev/sda2 /usr`->sda2를 /usr 디렉토리에 마운트 한다. `mount -t ext3 -o ro /dev/sdb1 /home2`->파일시스템이 ext3인 sdb1 파티션을 home2 디렉토리에 '읽기전용'으로 마운트 한다. `mount -o remount /tmp`->/tmp 디렉토리를 리마운트. -/etc/fstab->부팅시 파일에 설정대로 마운트를 진행한다.->내용`LABEL=/ / ext3 default 1 1`1) LABEL=/ : 파일 시스템 //아마 장치를 말하는듯.2) /: 마운트할 디렉토리3) ext3: 파일 시스템 타입4) default: 옵션(rw, suid, dev, exec[:실행허가], auto, nouser)>쿼타->일정 ..
1.HTTP 버전 -HTTP/1.0>동작->텍스트와 미디어를 따로 받아오기 때문에 서버에 2번 접속해야 한다.>요청방식1)GET: 요청받은 정보 검색2)HEAD: 요청받은 정보를 되돌려주지 않는다.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3)POST: 서버에서 동작하도록 요청. -HTTP/1.1>동작->한번 접속으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다.>요청방식*)GET, HEAD, POST1)CONNECT: 터널모드 교환 프락시를 사용.2)DELETE: 리소스 삭제 요청.3)OPTION: 통신 옵션 정보 요청.4)PUT: 제공되는 내용을 저장하도록 요청.5)TRACE: 루프백 메시지 요청. 2.HTTP 상태코드 -RFC에 명시됨. -종류1xx: Continue2xx: 성공->200: 에러 없이 전송 성공.->201: 성공적으..